부동산학의 이해
공인중개사 공부자료
오른쪽 상단의 채널추가(Ch+)를 해주세요. 공부에 필요한 자료를 빠르게 전달해드리겠습니다.
pf.kakao.com
부동산학의 정의
부동산학이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
부동산학은 부동산의 가치증진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동산에 대해 법적 · 경제적 · 기술적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는 종합응용사회과학이다.
부동산학은 토지와 토지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여러가지 항구적인 토지 개량물에 관하여 그것과 관련된 직업적 · 물적 · 법적 · 금융적 제 측면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학문연구의 한 분야이다.
부동산학의 학문적 성격
부동산학의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면, 인간 사회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사회과학에 해당하는데, 구체적으로 인간과 부동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순수과학과는 달리, 복잡한 현실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응용과학이다. 그리고 부동산활동과 현상을 연구할 때, 경제학, 법학, 행정학, 사회학, 심리학 등 여러분야의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과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 밖에 부동산학은 실천과학이며, 경험과학, 규범과학에 해당한다.
사회과학
부동산학은 인간과 부동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사회과학에 해당한다.
실천과학
부동산학은 부동산활동의 원리와 그 응용기술을 부동산행위의 기본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실천과학이다.
응용과학
부동산학은 부동산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면의 실천방법을 제시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는 응용과학이다. 즉, 부동산학은 순수과학과는 달리 복잡한 현실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응용과학이다. 그러므로 과학을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으로 구분할 때, 부동산학은 응용과학에 속한다.
경험과학
부동산학은 추상적인 학문이 아니라 현실의 부동산활동을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인 경험과학이다.
종합과학
부동산학은 부동산활동과 현상을 연구할 때 경제학, 법학, 행정학, 사회학, 심리학 등 여러분야의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규범과학
부동산현상들을 보고 그중 어떤 부동산행위가 사회에서 바람직한 것인가를 밝히고 그 바람직한 부동산행위를 판단할 수 있는 규범과학에 해당한다.
부동산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9회 기출문제)
① 부동산학은 토지 및 그 정착물에 관하여 그것과 관련된 직업적 · 물적 · 법적 · 금융적 제 측면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② 부동산학은 여러 분야의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③ 부동산학은 복잡한 현대의 부동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제적 접근을 취하는 전문적인 학문 영역으로 등장하였다.
④ 부동산학은 토지와 건물을 대상으로 하는 탐구라는 점에서 우주와 지구의 기본원리를 탐구하는 물리학이나 지구과학과 같은 순수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⑤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중 의사결정 접근방법은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며, 자기이윤의 극대화를 목표로 행동한다는 기본가정에서 출발한다.
부동산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6회 기출문제)
① 과학을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으로 구분할 때, 부동산학은 응용과학에 속한다.
② 부동산학의 연구대상은 부동산활동 및 부동산 현상을 포함한다.
③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중 종학식 접근방법은 부동산을 기술적 · 경제적 · 법률적 측면 등의 복합개념으로 이해하며, 이를 종합해서 이론을 구축하는 방법이다.
④ 부동산학은 다양한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학문적 성격을 지닌다.
⑤ 부동산학의 일반원칙으로서 안전성의 원칙은 소유활동에 있어서 최유효이용을 지도원리로 삼고 있다.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의의 부동산 (0) | 2022.08.13 |
---|---|
부동산학의 연구분야 (0) | 2022.08.13 |
부동산활동의 속성 (0) | 2022.08.13 |
부동산활동(부동산학)의 일반원칙 (0) | 2022.08.13 |
부동산학의 접근방법 (0) | 2022.08.13 |